반응형

출처: https://paulgo1111.tistory.com/17 [폴고의여행]

 

갱신된 내용을 참고하려면 출처 링크에 접속하여 확인하세요. 

 

Node.js 서버 구축

고돌이 PaulGo 2018.04.30 14:20

 

개발환경
서버 OS  CentOS 7 
접속방식  원격접속 ( putty [ ssh ] ) 
IDE  vi editor
 접속 PC OS Windows 10 

 

간단한 http 웹서버 구축하는 방법입니다. 

아파치처럼 특정 경로의 정적 파일을 서비스하도록 서버를 구축합니다. 

 

 

1. 서버에 원격접속

- 원격접속을 위해 putty를 설치합니다. 

 

- 원격접속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SSH (22번포트) 를 통해 통신하며, 

대부분의 서버 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https://www.putty.org ( putty 공식 사이트 ) 에 접속 후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윈도우용 설치 패키지 ( MSI ) 파일이 있습니다. 

32비트 64비트 각각 자신의 컴퓨터에 해당하는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세요.

 

 

 

설치후 위와같이 생긴 putty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합니다.

 

 

 

- 서버에 접속

 

해당 서버의 root 계정으로 접속합니다. 

 

 

login as: root 

password:  비밀번호 입력 후 엔터( 입력창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

엔터 후 계정정보가 일치하면 [root@localhost ~]# 와 같은 shell 입력창이 나옵니다.

 

접속을 했으면 먼저 서버환경구축을 위해 node.js 공식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nodejs.org/ko/

 

 

 

 

2. Node.js 설치

 

 

 

 

 

윈도우가 아닌 리눅스( CentOS 7 ) 에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다른 운영체제를 클릭합니다.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서 설치하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패키지관리자를 통한 Node.js 설치 클릭

 

 

 

 

 

CentOS 는 Redhat 계열의 RHEL ( Red Hat Enterprise Linux ) 의 배포판이기 때문에 EnterpriseLinux 를 클릭 

 

 

 

 

 

 

 

순서를 보면 먼저 

1. node.js 패키지파일 다운로드 ( 여기서는 버전 8.x 사용 - 안정적입니다. )

2. node.js 설치

3. 빌드도구 ( C++ 모듈 등과 같은 네이티브로 만들어진 모듈을 사용할 경우 )

 

의 순서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3번은 사이트의 설명과 같이 선택사항입니다.

 

 

 

 

 

 

1) 안정화 버전인 node 8.x 환경의 파일을 받습니다.

터미널에 공식사이트에 나온 설치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및 설정이 진행됩니다.

 

curl --silent --location https://rpm.nodesource.com/setup_8.x | sudo bash -

 

 

 

 

2) node환경을 설치하고 실제 nodejs를 설치합니다.

 

sudo yum -y install nodejs

 

명령 입력 후 설치 진행은 아래와 같습니다.

 

 

 

3) 아래는 gcc-c++ 과 make 빌드도구 입니다.

설치할경우 아래와 같이 설치가 진행됩니다.

 

yum install gcc-c++ make

 

 

 

 

 

3. 방화벽 설정.

http 웹서비스는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서버의 방화벽이 80번 포트를 닫아놓은 경우 http 웹서비스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방화벽 설정을 체크합니다.

 

firewall-cmd --list-all

 

 

 

 

위 사진을 보면 dhcpv6-client , ssh 두가지 서비스에 대한 포트만 열려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거기에 http 서비스를 추가합니다. 방화벽 정책을 수정할 땐,

 

 

아래와 같이 public zone에 대해 http 서비스를 영구적으로 추가 시키는 명령어를 작성하고,

 

firewall-cmd --zone=public --add-service=http --permanent

 

 

설정을 변경했으면 아래와 같이 리로드 (재시작) 을 해줘야 합니다.

 

firewall-cmd --reload

 

아래 그림을 보시면 list-all 명령의 결과로 변경사항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서비스를 오픈하거나 

아래 그림처럼 해당 포트를 직접 명시해도 됩니다.

( 둘다 http 서비스가 기본값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 )

 

 

 

 

4. 웹 서버 구현

 

 

1) 패키지 초기화 및 모듈 설치

 

이제 서버를 구동할 디렉터리를 만들고 이동합니다.

 

 

 

 

mkdir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렉토리를 만들고 cd 명령어로 이동하여

/home/pauli/node_projects/httpServerTest 디렉터리로 이동했고,

npm ini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npm 은 node package manager 의 약자로 node와 관련된 패키지들을 제어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npm init을 입력하면 지금 초기화되는 패키지의 이름,버전,설명,시작파일,테스트명령어,깃저장소 주소,키워드,작성자,라이센스등을

입력할수있으며 그냥 엔터를 치면 기본값으로 입력이 됩니다.

 

 

 

초기화 시에 입력한 것들이 package.json 파일에 저장이 되고 이는 변경도 가능합니다.

다음은 서버코드 작성을 편리하게 해줄 수 있는 express를 설치합니다.

 

npm 패키지의 설치 명령은 

npm install 패키지명 과 같고 뒤에 옵션으로 --save 를 붙일 경우. 

패키지가 설치될 프로젝트에 해당 패키지에 대한 의존성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 package.json에 작성됨 , 버전관련해서 package-lock.json 에 작성됨)

 

 

위 그림과 같이 

npm install express --save 를 통해 express 를 설치하고나면 

 

 

위 사진처럼 

node_modules : npm으로 설치한 모듈들의 저장경로

package.json : 의존성

package-lcok.json : 버전 의존성 관리

 

1개의 디렉터리와 2개의 파일이 생성됩니다.

 

 

 

2) 서버 코드 작성

vi index.js 를 입력하여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 index.js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express 모듈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app변수에 넣고 

app.get을 통해 '/' 경로로 요청이 들어올 경우 

'Hello Node.js ~! '라는 응답메세지를 보내도록 설정했습니다.

 

app.listen을 통해 80번 포트에 응답대기를 하고 

응답대기가 시작되면서 server test on port 80 이라는 로그를 출력하도록 작성했습니다.

 

해당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한 후에

작성한 파일을 실행합니다.

 

 

 

실행명령어 : node 파일명

 

서버가 80포트에서 실행

 

 

 

 

위와같이 해당 프로젝트를 작성한 서버의 IP주소 및 도메인을 입력하면 

작성한 서버가 제대로 실행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paulgo1111.tistory.com/17 [폴고의여행]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