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Protocol, Domain, IP, 자원 경로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n)

인터넷 망의 특정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

 

- Protocol

통신 프로토콜 종류이다. 웹 서비스는 http 또는 https 같은 프로토콜을 지정한다.

 

- IP (IP Address)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장치의 주소(IPv4 또는 IPv6)이며 숫자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참고] IPv4, IPv6

원래 IPv4 방식을 지원했으나 네트워크 장비가 많아지면서 IPv4 주소 범위로는 표현하기 어려워져서 IPv6라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IPv4, IPv6가 모두 사용되고 있다.

 

- Domain (Domain name)

IP Address는 숫자 형식이기에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문자 체계로 이루어진 주소 표현이 도메인 이름이다.  

 

[참고] 도메인 등록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려면 도메인 관리 기관과 연결된 도메인 등록 서비스 업체에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등록해야 한다. 도메인 이름은 유일한 이름이어야 하므로 중복될 수 없다. 앞 예의 경우에 등록할 도메인 이름은 101story.co.kr 이다. 101story라는 이름에 .co.kr 뿐만 아니라 .com, .net, .kr과 같은 최상위 도메인이 붙을 수 있지만, 이미 누군가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다면 추가로 등록할 수 없다. 

 

 

[URL 표현 예와 구조 분석] 

http://www.101story.co.kr/home/index.html  

 

http:// : 통신 프로토콜 (http)

www.101story.co.kr  : 도메인 

/home/index.html : 자원 경로 및 문서(자원) 

 

 

[참고] Port (포트 번호)

http는 기본 80번이라는 포트를 통해 연결된다. 그래서 앞 URL 표현 예는 다음 표기를 줄여서 표기한 것이다.  http://www.101story.co.kr:80/home/index.html  

포트 번호는 서비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기본 포트 번호가 아닌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서비스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웹 서비스 서버에서 80번 대신에 8000번 포트를 사용하도록 설정해놨다면 다음처럼 접속해야 한다.

http://www.101story.co.kr:8000/home/index.htm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