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없애는 음악' 음파 기술
다음 내용은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이효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공정소재그룹 박사가 ‘미세먼지 잡는 음악’을 선보였다. 음악 속 음파가 미세먼지를 때려 뭉치게 하는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줄이는 기술이다.
공기 속에 떠다니는 미세먼지가 빛 파장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서로 부딪히며 뭉치는 방식으로 제거된다. 먼지를 모으면 두 입자가 가까이 붙었을 때 서로 끌어당기는 ‘반데르발스 힘’이 발생해 뭉치기 쉽다.
연구팀은 빛 대신 파동의 다른 형태인 20~50㎐ 음파를 활용했다. 강한 저음을 내기 위해 새로 고안한 어쿠스틱 액추에이터를 챔버 양쪽에 달고 챔버에 초미세먼지(PM2.5) 200~2000 마이크로그램(㎍·100만 분의 1g)을 넣었다. 미세먼지가 가득한는 챔버에 음파를 가했더니 5분 내로 미세먼지 40%가 제거됐다.
“포집 기술과 연결하면 작은 입자보다 큰 입자를 포집하는 게 쉬워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기존 기술은 대부분 필터를 이용한다. 하지만 필터를 매번 갈아줘야 하고, 공기를 빨아들이는 모터 등 추가 장치가 필요하다.
미세먼지 제거에 사용하는 주파수가 가청주파수에 가까워 사람이 음파를 들을 수도 있다. 그래서 음악을 함께 사용하면 아름다운 음악을 들으며 깨끗한 공기도 마실 수 있다.
<이상>
반응형
'발명,모형제작,3D프린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빙기 만들기 (0) | 2021.01.14 |
---|---|
개구리 세포로 '살아 있는' 로봇 제작 성공 (0) | 2020.01.14 |
3D 프린터 필라멘트가 뭉치거나 중간에 떨어져 버릴 때 (0) | 2019.07.04 |
3D 모델링 파일 샘플 사이트 (0) | 2019.06.27 |
크리메이커 사이트와 자료 정리 (0) | 2019.06.14 |